화령장전투전사
화령장전투전사는?
화령장전투는 1950년 7월17일 상곡리전투와 7월21일 동관리전투로 나눌 수 있으며, 국군이 후퇴를 거듭하던 암울한 시기에 6 · 25전쟁의 판도를 바꾸고
낙동강 방어선 구축에 시간적 여유를 확보하였으며, 멀게는 인천상륙작전과 서울 수복에까지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개요
전투기간
1950. 7. 17 ~ 7. 21(5일간)
전투지역
상주시 화서면 일원(상곡 · 하송 · 동관리 일원)
전투부대
- 아군 : 육군 제17연대(중령 김희준) 1대대(소령 이관수), 2대대(소령 송호림), 3대대(소령 오익경)
- 적군 : 제15사단(사단장 박성철) 48연대, 45연대
전투경과
당시상황
적군 15사단
1950년 3월 함북 횡령 신편, 원산 철원
충북괴산
갈령고개(977지방도)
상주(화서)
대구 · 부산 공격 계획
아군 17연대
1948년 11월 경기 시흥 창설, 적 기습공격으로 제17연대 후퇴 옹진 인천
평택
청주
보은
함창으로 이동중(화령통과)
주민 및 경찰의 역할
북한군에 대한 신속한 이동 정보제공 및 지역 정찰활동 지원
주먹밥 및 탄약운반, 환자치료 지원 등
전투경과
적군 600여명 사살, 포로 50여명
아군 4명 전사, 부상 30명
노 획
박격포 36문, 대전차포 7문, 반전차포 2문, 기관총 53정, 소총 1,386정 등
의의
6 · 25전쟁 중 주민과 군, 경찰의 합작, 정찰과 매복작전으로 아군의 불리한 전세의 흐름을 바꾼 값진 승리
아(연합)군의 낙동강방어선 구축을 위한 시간적 여유를 제공한 전투로 평가
※ 보병 제17연대 전장병 1계급 특진(2,600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