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마교실

승마의 기초

승마의 복장

승마의 복장은 승마예절과도 관련이 있는데 가장 필수적으로 써야하는 모자는 안전모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낙마의 위험에 대비한 것이며 보편적으로 검은색으로 통일되어 있다.
바지와 장화도 일반용품과는 달리 승마용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 외의 장비는 개인취향에 따라 멋을 낼 수 있다.

말에 오르는 법과 내리는 법

말의 습성을 습득하고 장비 일체가 준비되면 말에 오르는 법과 내리는 법을 배우게 된다.
초보자는 전문교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 기본자세와 속보는 하루 45분씩 1개월 정도면 배울 수 있다.
그 후 3개월 정도 꾸준히 연습하면 전문교관의 도움 없이 혼자 승마를 즐길 수 있다.

기초승마

기초 승마는 말을 어떻게 다루고 기승할 때 어떠한 방법을 통해 말을 움직이게 할 수 있는지를 배우는데 목적이 있다.
단, 말은 살아 숨 쉬는 존재이기에 도구적으로 사용한다기보다, 인간을 태워줌에 대한 고마움을 느끼고 기승을 한다면, 말도 기승자에게 신뢰감을 얻을 것이다.

말을 다룬다는 것

인간보다 지능이 낮다고 무시하지 말고, 사랑으로 대해 주어야 하며, 살아 숨 쉬는 생명체이니 만큼, 말에게 요구 조건 하나하나에 대해 양해를 구하는 마음으로 조심스레 다가가 친구처럼 대해주어야 한다.

기승을 위한 장구 장착

      1 기승을 위한 장구 장착
  • 1) 솔질(얼굴과 몸통 솔질 및 발굽손질)
  • 2) 아대 또는 벤데지 감기(다리보호대)
  • 3) 절포 얹기(보조패드)
  • 4) 안장 얹기
  • 5) 복대 조이기(기타 보조장구 장착)
  • 6) 굴레 씌우기
      2 장구 장착이 끝나면
  • 1) 말을 운동장으로 데리고 가기
  • 2) 기승 준비 - 절대로 서두르지 않는다.
    커다란 몸동작이나 소음은 말에게 긴장감을 조성할 뿐, 기승에는 도움이 안 된다.
  • 3) 승마실습 - 말을 운동장으로 데리고 나왔다면, 말의 동작을 멈추도록 유도.(보조요청)
  • 4) 고삐 갈기 뒤로 넘기기
  • 5) 말의 왼쪽 편에 서기
  • 6) 왼쪽 손은 고삐와 함께 말의 갈기와 움켜쥐며, 남은 고삐는 오른편으로 넘긴다.
  • 7) 우측 손은 왼쪽 등자쇠 뒷부분을 잡고 말의 몸과 수직으로 유지
  • 8) 잡고 있는 등자쇠에 왼쪽 발을 얹고, 즉시 지면을 박차고 말 등을 향해 뛰어오른다.
    (이때, 우측 무릎의 반동을 이용하고,양팔로 끌어 안 듯 하면서 위로 오른다)
  • 9) 뛰어 오를 때 우측 손은 재빨리 안장의 뒷부분을 잡아 몸을 안장 쪽으로 옮기고 우측다리를 말의 우측으로 옮기고, 등자쇠에 발을 얹는다.
  • 10) 고삐 잡기
  • 11) 고삐 끈이 꼬이지 않도록 주의하고 양쪽 손에 한쪽씩 나누어 잡는다.
  • 12) 앞으로 나란히 자세에서 팔꿈치를 살짝 내린다는 느낌으로 팔의 위치를 잡고,
  • 13) 양쪽고삐는 손등 쪽에서 4번째 손가락과, 5번째 손가락 사이를 통과, 손바닥을 가로질러 엄지손가락과 검지을 통과하도록 잡는다.
    보내기 - 끌끌 차는 혓소리, 다리, 채찍 등을 사용한다.
    방향제시 - 다리와 고삐를 사용한다.
    세우기 - 고삐와 음성을 사용한다.

승마의 올바른 자세

      승마의 올바른 자세는 말에게 안정감과 친숙함을 전달할 수 있으며, 승마를 빨리 배울 수 있는 요령이기도 하다.
  • 머리 - 똑바로 전방을 주시하고 턱을 약간 안으로 당긴다.
  • 시선 - 시선은 말의 양 귀 사이로 멀리 내다보며 좌우도 살핀다.
  • 손 - 힘을 뺀 상태에서 겨드랑이를 옆구리에 붙인다. 양손의 간격은 약 10cm정도가 좋다.
  • 어깨 - 힘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자연스러운 상태를 유지한다.
  • 가슴 - 구부리지 않고 일자 형태를 유지한다.
  • 무릎 - 양 무릎 안쪽을 말에 밀칙시킨다.

승마시 주의사항

승마의 기본적인 규칙은 “지나치면 안 된다”이다. 이것은 기승자의 능력을 넘어선 말을 고른다거나 또는 너무 어려운 행동을 시도하는 것 등을 말한다. 기승자의 능력과 수준에 맞춰 안전한 시설에서 잘 관리된 장비를 사용해야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말을 안전하게 다루고 기승하는 방법을 익혀둔다면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말과 관련된 대부분의 사고는 다음중 하나이다.
말에 대한 이해부족, 안전하지 못한 시설, 승마에 부적당한 마필, 잘 맞지 않는 장구, 비상상황에 대한 대비 부족, 부주의나 소홀함, 과도한 자신감, 잘못된 마필, 승마장 훈련 또는 감독 장비 고장, 말이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등의 불운, 평정심을 잃는 것

보통 말은 자신이 받아들일 수 없는 것에 직면했을 때 회피 행동을 한다.
말에 대한 강압적인 훈련은 뛰어오르기, 뒷다리로 서기, 도망치기 등의 반응을 초래할 수 있다.
말들은 크고, 힘이 세며, 반응이 빠르기 때문에 어떤 말이라도 위험은 잠재하고 있다. 말의 힘은 가끔 과소평가 되며, 낯선 환경에서 동요될 경우 예기치 않게 나타날 수 있다. 마장에서는 물론 훈련이나 시합 때도 안전한 습관을 길러 줘야 한다.

모든 장구들은 재료와 구조가 튼튼해야 하며 착용 전에 정기적으로 검사해야 한다.

견고한 장구는 말이 나쁜 습관을 들이지 않도록 하는데 필요한 보험이다. 혹시라도 약한 장구를 부수어 자유로울 수도 있다는 것을 말이 학습하게 되면, 그런 시도를 반복하는 위험한 습관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안장도 내구성이 있는 재료로 잘 바느질되어야 하고 땀이나 기후, 더러움에 약해져서는 안 된다. 어떤 안장들은 색깔이 화려하고 매력적이나 가혹한 스트레스 하에서는 믿을 수 없을지 모른다. 안장을 고를 때는 신뢰성을 가장 우선해야 한다.

다른 말을 끌거나 타고 지나갈 때는 조심해야 한다. 두 말들이 서로 마찰이 생길 수 있으므로 사람이나 마필이 부상당할 수 있다. 말이 다른 낯선 말에게 접근하여 냄새를 맡게 하지 말라.
이것은 가끔 싸움이나 더 공격적인 행동의 전주곡이다. 앞다리, 뒷다리 모두 말의 사정권 밖에 머물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