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마 요법에 유효한 증상으로서는 자폐증, 뇌성 소아마비, 시각장애, 뇌기능 손상, 지적 발육지체, 척추 손상, 근지스트로피, 간질, 다운증, 환경부적응 아동, 학습 무기력, 학습부진, 등교 거부, 언어 장애, 자세 결함, 변형, 마비에 의한 불균형, 정신병, 기타 행동 장애, 심장순환기계질환, 영양실조 등이다.
승마 요법의 의의는 첫째 의료적 의의, 둘째 교육적 의의, 셋째 스포츠적 의의, 넷째 교류적 의의를 들 수 있다.
말을 마음대로 스피드나 방향을 컨트롤 할 수 있기 때문에 연습을 반복, 그 과정이 기승자와 말, 그리고 주위의 사람들과 새로운 인간관계의 구축이나 세계를 넓히는 계기가 되고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향상에 좋은 영향을 주는 장이 된다.
또 말을 타는 것의 흥미, 즐거움이나 향상심을 살리면서 실제 승마 이외에 준비 조작, 놀이(게임), 말의 손질, 마방 관리(먹이 만들기, 마방 청소, 당근 주기등)나 승마 지식 등 말에 관련한 것 모두가 훌륭한 교재가 된다.
의료적 측면에서는 말의 움직임을 적극적 요법으로 이용하려는데 대하여, 교육적 측면에서는 말을 통하여 여러 가지 활동의 모든 기회를 이용하여 기승자의 요구에 따라 학습의 기회를 주려고 하는 차이가 있다.
스포츠는 통상 스스로 몸을 움직이므로 근육을 단련하고 기능을 향상시키려고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승마는 단순히 말에 의존하여 걷는 것만으로 충분히 자극이 되는 스포츠로서의 특징을 갖고 있다.
말로부터 좌우상하 전후의 흔들림을 엉덩이와 허벅지를 사용하여 몸의 중심을 유지하려는 동안 근육과 균형 운동을 계속하게 된다. 운동을 계속하고 있는 사이에 바른 자세를 유지하면서 몸의 힘을 빼는 것도 요구되는 승마 스포츠는 레크리에이션보다 장애자에게 알맞은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 승마는 한 사람 한 사람 적합한 노력 목표를 섬세하고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요소를 충분히 갖고 있고 어떤 장애를 가진 사람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승마는 보통 몸을 움직이는 것이 적은 사람들에게 기분 좋게 땀을 흘리는 운동 부족의 해소 기회이기도 하고 즐겁고 마음이 가벼워지는 유익한 레크리에이션 기회도 된다.
또 승마 대회 참가를 목적으로 승마 기술의 향상에 노력하려고 하면 그 과정으로부터 얻어지는 생활의 활력, 의욕, 향상심, 자신 등 정신적, 육체적 효과는 매우 많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장애자가 승마나 그것에 관한 작업이나 운동을 안전하고 즐겁게 하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지도자나 봉사자의 도움이 필요하게 되는데, 승마 그 자체는 기승자의 장애 유무, 연령에 관계없이 누구나 할 수 있는 스포츠이다. 각각 각자의 목적, 요구에 따를 수 있는 승마 시설만 있으면 얼마든지 건강한 사람과 같은 활동이 가능하다.
보통 승마를 즐기고 있는 사람에게는 승마를 즐기는 동료로서 교류할 수 있는 장이 된다. 또한 장애자가 승마할 때에는 승마 기술을 가진 봉사자로서 활동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장애를 가진 사람이 안심하고 활동에 참가할 수 있다. 때문에 인재 육성 활동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건강한 사람이 보면 이런 자연스런 만남을 통하여 장애를 가진 사람에 대해 이해하려는 마음가짐이나 태도를 배울 수 있는 경험이 장이 되기도 한다. 장애자 입장에서는 보다 많은 건강한 사람과 접촉하여 사회생활의 하나를 즐기는 기회가 된다.
말을 통하여 각 분야의 사람들이 모이고 서로 즐기면서 배우는 교류의 장으로서 새로운 사회 환경 만들기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것이다.
재활승마의 정의는 장애인이 전신운동인 승마(동물매개 치료의 하나)를 통하여 신체적 정신적 회복을 도모하고 건강한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하는 재활치료방법의 하나이자 생애 스포츠라 할 수 있다고 하겠다.